본문 바로가기
약재모아 남주자!/사람을 살리는 신의 선물

디스크 환자인 선조의 처방, 속단!(11.03.18 방송분)

by 김길우(혁) 2020. 3. 18.

제인병원 병원장 김길우 (02, 3408-2132)

김길우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2131907
---------------------------------------------------------------

(11.03.18 라디오 동의보감 방송분.)

편안하십니까? 중원대학교 국제 생명공학 연구소장 김길우입니다.

선조 31년 서기 1598년 무술년 음력 3월 12일 정유일 ‘약방 관원이 왕의 병에 대한 처방을 아뢰다’라는 왕조실록 기사에서는, ‘약방 도제조 이원익과 제조 홍진(洪進), 부제조 서성(徐渻)이 아뢰기를, “신들이 의관에게 성상의 증세에 대해 들으니, 허리 아래쪽의 찌르는 듯한 통증은 조금 나아졌으나 근골(筋骨)이 몹시 무거운 듯하고, 다리 힘이 약해져 똑바로 설 수가 없다. 이에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을 드시게 하였으나 효험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약방 도제조 이원익

신들이 의관과 상의해 본 결과, 추울 때 피로가 쌓여 근골이 상했는데, 봄기운이 피어오르자 한습(寒濕)한 기운이 간(肝)과 신(腎)의 경락(經絡)에 동(動)하는 것으로, 독활(獨活)을 제거하고 진교(蓁芃)와 계심(桂心)을 모과(木瓜)와 속단(續斷)으로 대용하며, 황백(黃栢) 3푼을 가입하여 하루 다섯 번 진어(進御)하는 것이 마땅할 듯합니다. 침을 놓는 일에 대해서는 성상의 증상을 살펴 의계하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답하기를, “약은 짓지 말라. 날씨가 따스해지기를 기다려 침을 맞는 것이 좋겠으며, 이 밖에는 달리할만한 일이 없다. 불로단(不老丹)은 서툰 의원이 자기 마음대로 첨가해 넣어서는 안 된다. 오가피주(五加皮酒)에 대해서는 알았다.” 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임진왜란의 피란 속에서 선조임금이 요즘 말로 디스크 병이 생기셨나봅니다. 오늘은 이때 임금에게 쓰자했던 약재인 속단(續斷)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동의보감에서는, ‘속단(續斷)은 성질이 약간 따듯하고, 맛은 쓰고 매우며, 독(毒)이 없다. 경맥(經脈)을 통(通)하게 하고, 근골(筋骨)을 이어주며, 기(氣)를 도와주고 혈맥(血脈)을 고르게 하며, 부인 산후(産後)의 모든 질병을 치료한다.’ 라고 기록하며, 속단의 효능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뿌리가 참 길~죠?

계속해서 보감에서는, ‘속단은 산이나 들에서 자라며, 음력(陰曆) 삼월이 지나 싹이 돋아나는데 줄기는 네모나고 잎은 모시풀 잎 같으면서 마주난다. 음력 사월에는 연한 자주색 꽃이 피고, 뿌리는 엉겅퀴 뿌리 같으면서 적황색이다. 음력 칠월과 팔월에 뿌리를 캐서 그늘에서 말리며, 마디마디가 끊어지고 껍질이 누렇고 주름진 것이 진짜다. 통증을 멎게 하고 새살을 돋게 하며, 근골을 이어주어 그 이름을 속단(續斷)이라고 한다. 부인의 붕루(崩漏) 대하(帶下) 혈뇨(血尿)에 가장 좋다. 마디마디가 부러질 때 연기 같은 먼지가 나는 것이 좋으며, 술에 담갔다가 불에 쬐어 말려서 쓴다. 상기생과도 약효(藥效)가 같다.’ 라고, 속단의 모양과 좋은 약재를 선별하는 방법을 자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속단입니다.^^

또 동의보감 요통의 단방약 분분에서는, ‘속단은 요통(腰痛)에 주로 쓰며, 달여 먹거나 가루로 내어 먹어도 모두 좋다.’ 며, 요통에 관한 효능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있습니다.

속단은 약재로는 이렇게 생겼습니다.

선조임금 치세의 전반은 평화로운 시기였으나 후반은 7년의 왜란 등 순탄치 않은 시기였습니다. 피란하면서 이런 저런 병이 생긴 선조가 스스로를 위해서 그랬는지, 전란 속에서 살아남은 백성을 위해서 명을 내렸는지는 모르겠으나, 선조 30년 서기 1597년 왕명으로 동의보감(東醫寶鑑) 편찬을 시작하여, 광해군 3년 1611년에 완성하고, 광해군 5년인 1613년에 동의보감이 편찬되었습니다. 이후 2009년 7월 바베이도스에서 열린 제9차 유네스코 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에서 2009년 7월 31일 세계 의학서적으로는 유일하게,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살을 뚫는 아픔 속에서만 황홀한 아름다움의 진주가 만들어지는 모양입니다. 다음시간에는 요추(腰椎)가 아픈 병을 치료하는 녹각(鹿角)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제인한방병원 병원장 김길우 (02, 3408-213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