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록 정리:제인병원 병원장 김길우, 의국(02,3408-2132)
김길우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2131907391
---------------------------------------------------------------
-<강의공지>-
주 제 : 다양한 한방보험약 활용법8
일 시 : 2011.02.15(화) 18:30
장 소 : 제인한방병원 2층 <회의실>
청서익기탕
창출, 황기, 승마, 인삼, 백출, 진피, 신곡, 택사, 황백, 당귀, 청피, 맥문동, 건갈, 감초, 오미자
창출, 백출, 택사 -> 안에 가득찬 濕을 제거한다.
황기 -> 피부의 문제에 사용한다.
승마, 당귀 -> 서늘하게 하고 간쪽 막힌 것을 푼다.
맥문동 -> 폐를 윤하게 한다.
신곡 -> 비습으로 소화가 잘 안되는 것 때문에
비습으로 간이 울체되고 간열이 발생하여 폐까지 마르는 증상에 사용할 수 있다. 소화가 안되고 목이 마르고 마른 기침이 나는 사람에게 사용할 수 있다.
청위산
승마, 목단피, 당귀, 생지황, 황련
목단피 -> 血熱을 가라앉힌다.
당귀 -> 간이 막힌 것을 풀어준다.
생지황 -> 열을 함께 끈다.
肝, 腎의 열을 꺼주는 처방이다. 석고를 加할 수 있다.
팔물탕
인삼 백출 백복령 당귀 천궁 숙지황 백작약 감초
허로는 허해서 勞하다는 뜻이다.
기혈과 음양을 보한다는 것은 간(혈)과 비(기)를 보한다는 뜻이다.
사군자(기)+사물(혈)의 처방.
옹저후 열이 더 날 때 황기 맥문동 산수유 오미자를 加하는데 오미자 산수유 등은 각각 장부의 열을 끄는 약이다. 산수유는 간, 신의 열을 끄고 오미자는 간, 신, 폐의 열을 잡는다.
창출, 진피, 후박, 감초, 생강, 대조
창출-> 비를 보한다.
진피, 후박 -> 기를 돌리고 내려준다.
감초 -> 음양을 조절한다.
음식에 상하여 비위실증으로 습이 있는 사람에게 사용하는 약재라고 할 수 있다.
행소탕
행인, 자소엽, 상백피, 진피, 반하, 패모, 백출, 오미자, 감초
행인 -> 폐를 부드럽게 한다.
상백피 -> 열을 내린다.
반하 -> 가래를 내려준다.
오미자 -> 감기 않고 늘어나 있는 폐를 수축시켜 준다.
T-tube를 착용한 사람은 어떻게 될까? 폐가 마르기 쉽다. 이게 오래 되면 氣를 상하고 이로 인해 담이 발생한다. 따라서 T-tube 착용한 사람은 항기 이런 걸 생각해야 한다.
향사평위산
창출, 진피, 향부자, 지실, 곽향, 후박, 축사, 목향, 감초
향부자, 지실 -> 기가 막혀서 위로도 아래로도 소통하지 않을 때 뚫어준다.
곽향 -> 관중하여 가운데를 소통시킨다.
축사, 목향 -> 기운이 있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인삼등 보하는 약은 쓰지 않는다.
Q : 어혈을 제거하는 破瘀劑를 복용하면 속이 쓰릴 수 있습니까?
A : 어혈을 제거할 때 혈류를 증가시켜 충혈 시켜서 상처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속이 쓰릴 수 있다.
강의록 정리:제인한방병원 의국(02,3408-2132)
'강의해서 남주자! > 니들이 한의학을 알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경의 눈으로 보는 상한론 태양병편; 병원장 특강 53(12.03.20). (0) | 2019.03.20 |
---|---|
무궁무진한 한방보험제의 세계; 병원장 특강21 (궁하탕, 당귀육황탕, 대청룡탕, 대화중음, 대황목단피탕, 복령보심탕, 삼호작약탕, 승양보위탕, 시호소간산)(11.03.15). (0) | 2018.03.15 |
상견질환 10가지; 병원장 특강37(11.08.30). (0) | 2017.08.31 |
상견질환 10가지-병원장 특강36(11.08.23) (0) | 2017.08.25 |
바로 써먹는 감기 치료법!- 병원장 강의4 (10.11.02). (0) | 2016.1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