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읽어서 남주자

<한권으로 읽는 한국철학>을 읽고...(11.04.01)

by 김길우(혁) 2020. 4. 1.

(좋은 책입니다)

한약학 개론을 듣는 학생들이 첫 번째 과제를 하면서 철학을 꽤나 친근하게 받아들이게 된 것 같습니다. 생소하거나 어려운 개념도 우선 접해보고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보기 좋습니다.

두 번째 과제는 동양철학사에 대한 책을 읽고 감상문을 제출하는 것이었습니다. 맞춤법을 자주 틀리는 것은 주의를 좀 더 주어야 되겠지만, 어린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철학에 관심을 갖게 된 점이 고무적이라고 하겠습니다.

전주희 학생의 감상문입니다.

한권으로 읽는 한국철학 (황광욱, 정성식, 임선영 지음)

2010102042 전주희

동양철학사를 막상 쓰려고 하니 어떤 주제를 삼아야 될지 잘 몰랐다. 그런데 도서관에 가지마자 보이는 책이 바로 이 책이였다. 이 책은 우리나라의 철학자들을 한명씩 자세하고 알기 쉽게 설명해 놓은 책 이였다. 이 부분에서 내가 제일 관심있게 읽었던 부분이 바로 성리학을 다룬 율곡이이와 퇴계이황 이였다. 왜냐하면 두 사람은 이미 중학교때부터 알고 있던 분들 이였는데 솔직히 잘 몰랐는데 이번기회를 통해 조금은 알게 된 것 같다.

성리학은 ‘심성의리지학’의 줄임말로, 주된 관심은 마음과 본성, 옳음과 이치라고 한다. 그런데 마음의 핵심이 본성이고, 옳음의 근원은 이치에 있기 때문에 ‘심성의리’는 ‘성리’로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성과 리에는 각기 대응되는 개념이 있는데 성과 정, 리와 기가 그것이다.

리와 기를 본체론적인 입장에서 구분하면, 리는 형체를 갖지 않는 형이상이며, 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라고 하면, 기는 형상을 갖춘 형이하 이면서 드러난 현상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것을 인간의 심성과 관련해 구분하면 리는 천리로서 인간에게 부여된 본성이고, 기는 인간의 생체적 욕구와 욕망인 인욕이라고 한다.

성리학은 역사도 깊고 내가 배우기에 양이 너무 많이 벅차다. 또 성리학에 관련된 인물이 셀 수 없을 정도로 많기 때문에 그 이론의 갈래에 따라 해석이나 주장도 다양하다고 한다. 하지만 이 시대의 성리학은 주희의 성리학을 근거로 했다. 왜냐하면 성리학을 집대성한 인물이 바로 주희고, 조선에서도 주희의 성리학이 다른 사상과 이론투쟁을 벌이며 전통사상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성리학에서 리와 기의 관계를 자세히 알아보면 어떤 측면에서는 필연적이지만, 어떤 측면에서는 필연적이지 않은 모순된 면이 있다. 이 같은 모순이 발생하게 된 시초는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희에게 있다고 한다. 주희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세계를 리와 기라는 두 틀을 가지고 해명하려고 했다. 그런데 엄격하게 말하면 ‘옳다, 그르다’고 하는 가치는 인간에게만 해당되는 문제라고 한다. 자연을 설명하는 데는 모순이 없지만, 인간의 성을 문제 삼을 때 그 성의 근원을 리에 두고 최고의 선이라고 하는데서 모순이 발생하는 것이다. 동양사상의 초고의 지향점은 ‘하늘과 사람이 합하여 하나가 된다’ 는 명제이기 때문에 주희는 이 천인합일을 리와 기로서 해명하려 했고, 그러다 보니 리에 원리와 표준이라는 두 의미를 동시에 부여할 수밖에 없었다.

이황에게 있어 가장 큰 앎의 대상은 ‘인간’이었다. 인간이 어떤 원리로 태어나는가, 인간과 만물은 무엇 때문에 구별되는가, 인간다운 삶이란 어떤 것인가, 인간다울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하는 것이 이황의 주된 관심사였다. 하지만 이이는 온 세상이 오직 이익만을 쫓고, 사람답게 산다는 말은 배부른 자의 한가한 소리나 현실과 동떨어진 자의 공허한 구호처럼 여겼다.

이황은 성리학을 전통으로 여겨 불교, 도교와 양명학을 힘써 배척한 반면에 이이는 한때 절에 들어가 불교 공부도 하고 노자의 도덕경을 해설한 책을 쓰기도 하는 등 성리학 이외의 학문에 비교적 개방적인 태도를 가졌다. 또, 이황이 인간 본연의 도덕성을 함양하는데 온 힘을 쏟았다면, 이이는 세상을 바르게 할 수 있는 법과 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다.

두 사람의 이론을 번갈아 가면서 읽을 때는 좀 복잡하고 해깔리는 부분이 너무 많았다. 하지만 한마디로 정리하면 둘 다 이기론을 주장하였지만 관점의 차이인 것 같다. 이이는 이기일원론으로 기를 조절하라 하였고, 이황은 이기이원론을 주장하여 이와 기가 서로 다르다고 하였다. 복잡하지만 이제 조금 알게 된 것 같다. 방학때 시간이 많이 남으면 다른 부분을 더 공부해야겠다.

 

방학 때 시간이 많이 남으면 더 공부하겠다 말,
꼭 기억하겠습니다~

'放學'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느껴지는군요^^

수고하셨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