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의해서 남주자!/바로 써먹는 약침강의

경락약침의 실제적용; 병원장 특강32(11.07.05).

by 김길우(혁) 2018. 7. 5.

 
경락약침의 실제적용-병원장 특강32
 

제인병원 병원장 김길우, 의국(02, 3408~2132)

김길우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2131907

------------------------------------------------------------------------------------

 -<강의공지>-

주 제 : 약침 임상의 실제
일 시 : 2011.07.05(화) 18:30
장 소 : 제인한방병원 3층 <의국실>

------------------------------------------------------------------------------------


약침을 놓는 경락을 찾는 데에는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다.

1. 장기를 중심으로 찾는 방법

2. 운동기를 중심으로 찾는 방법

※장기를 중심으로 찾는 방법

-해부학적인 구조를 봤을 때 간이 열을 받으면 우선적으로 간비불화가 되고 그 위의 흉격장기가 영향을 받는다.

-배의 불용, 대거는 간에 작용하는 점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간과, 대장의 하행결장에 놓는 것인데 결국에는 간이 소설되고 대변을 잘 보게 되면 간이 열을 받은 것이 빠지게 되는 것이 선생님의 오리지날 아이디어가 아닌가 한다.

-같은 원리로 폐도 놓을 때 감기가 심해지면 턱 밑에서 편도를 찾거나 이하쪽에 놓는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서 폐병 환자들에게서 임상적으로 유효한 경락을 찾아보니 중부, 욱중, 신장, 유중하, 극천하의 5개 점을 찾아내었다.

-유중하의 경우 처음에는 유륜에 놓았는데 통증도 심하고 여자의 경우에는 효과에 의심이 있어 유륜 밑으로 놓는다. 유두도 사람마다 위치, 크기등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쉽지 않았다.

-극천하의 경우도 책에는 많이 나와있지 않고 놓는 것도 어려운 자리이다.

-욱중, 신장의 경우는 책에도 나와있고 효과도 좋은 편이다.

-모든 경락은 병이 생길 수 있는 곳에 가서 발달하기 때문에 담배를 피거나 폐가 좋지 않은 사람의 경우 가슴부위 경락이 많이 발달되어 있다. 또한 현대인의 경우 공기가 맑지 않기에 기본적으로 가슴부위 경락이 많이 발달되어 있는 편이다.

-또한 늑간부위를 잘 훑다 보면 폐쪽으로도 경락이 발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늑간을 쭉 훑다가 걸리는 점에 놓으면 폐병이 아주 잘 낫는다. 왼쪽은 2엽, 오른쪽은 3엽으로 폐가 나뉘어 있는데 분명히 엽이 나뉘어 있는 식으로 경락이 발달한다. 폐렴의 경우도 X-ray사진에 나와 있는 것과 거의 똑같은 위치에 경락이 발달한다.

-기본적으로 약침이 폐나 심장에 닿지는 않지만 어린아이나 폐고(肺高)한 사람은 시술시 주의해야 한다. 또한 약침 사용시 6mm든 7mm든 숙달되어 깊이를 마음먹은 대로 넣을 수 있어야 한다.

-최초의 화성경락 약침은 욱중, 신장과 전중에 쓰는 것이었다. 써보니까 실제로는 효과가 그리 좋지 않으며 전중경락에 가끔씩 “쩡-”하는 듯한 심한 통증이 생기는 부작용이 있었다.

주로 사용되는 복부 경락점 

-남상천 선생님의 경우 우리나라의 격동의 시기를 살아오셨기에 스트레스를 받거나 감정적으로 고통받는 사람이 많다고 생각하여 간을 치료하는 것을 중시하셨다. 따라서 좌 불용, 우 대거가 복부 기본혈이 된다. 5%정도의 비율로 소화기 증상에 우 불용, 좌 대거를 사용할 때도 있다.-현대인의 경우 기본적으로 식사량이 많기에 췌장점, 담낭점등이 기본적으로 많이 발달하게 된다. 환자를 눕게 하고 다리를 세워서 촉지할 경우 더 깊게 촉지 할 수 있으며 침을 놓더라도 잘 낫는 편이다.

-위장쪽 문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명치~배꼽까지 일직선상으로 경락이 발달하기도 한다. 이 경락을 치료하면 위장병이 잘 낫고 대변도 잘 보게 된다.

-그리고 배꼽~치골 상연을 따라가면 임신부, 요도염 걸린 사람에게 경락이 많이 나타난다. 먼저 기제를 사용하는 식으로 치료하면 잘 낫는다. 융폐, 소변불리 환자들의 경우 소변을 다량 볼 수 있게 해준다.

-장기의 위치에 따라 치료하는 방법은 별로 위험하지 않고 효과도 좋은 편이다. 다만 간이 부었을 때 그 위치에 잘 못 놓는 다거나 하는 건 피해야 한다.

인체의 후면 배수혈을 사용하는 방법

-신체의 전면부에 놓았는데 잘 낫지 않는 다면 신체 뒤쪽의 신경지배영역에 놓는다 심장의 경우 심수, 폐의 경우 폐수에 놓는 식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척추를 쭉 촉지 하였을 때 척추배열이 어긋나 있는 곳을 찾는다.

  휘어 있는 척추

-하지 말아야 될 것은 극돌기 위에 놓는 것이다. 아무 소용이 없고 뼈가 약한 사람의 경우 골절의 위험도 있다. 따라서 극돌기에서 옆으로 5mm, 6mm 떨어뜨려 놓는다.

-그 다음 중요한 것이 팔료혈이다. 대장수~팔료혈 부위의 경우 sensory상으로 하지로 가고 성기쪽으로 가는 큰 근육들을 지배하기 때문이다. 


-보통 대장수, 상료, 차료까지 사용하며 하료는 거의 뭉게져 있기 때문에 잘 쓰진 않는다. 허리를 많이 사용하거나 성교횟수가 많거나 여성의 경우 월경통이 있을 경우 상료부위를 문질렀을 때 능선이 있는데 능선이 부어있거나 찌릿찌릿한 통증이 있다. 이 부위의 경우 약침이 아닌 뜸을 뜨기만 하더라도 효과가 있다.

습성 경락에 놓을 시

-장강의 경우 약침을 놓을 때 꼬리뼈의 위치를 꼭 정확히 잡아야 한다. 사람마다 꼬리뼈의 위치와 모양이 제각각이고 잘못 놓을 경우 뼈를 부러뜨리거나 뼈에 꽂히면 매우 아프다고 하는 사람이 있어서 주의해야 한다.

-회음의 경우 성기의 해면체가 회음쪽으로 가기 때문에 반드시 옆으로 치우고 놓아야 한다. 해면체에 놓아서 좋을 이유가 없고 자칫하면 발기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

-유정희 혈의 경우 치골 주변을 만지다 보면 안쪽에 구멍같은 것이 느껴지며 손에 걸리는 지점이 있다. 유정희 혈의 경우도 전중경락처럼 놓았을 때 “쩡-”하는 통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위에 무언가 만져진다면 치우고 놓는 것이 좋다.

-어깨 근육의 경우 어깨와 몸통사이의 이음새가 경락이 잘 발달한다. 매달려 있는 자리에서 문제가 되는 곳을 찾는 것이다. 이 때 관절낭 안으로는 놓지 않도록 한다. 통증이 매우 심하다.

-목의 경우도 몸에 붙어 있는 부위에 통증이 생긴다. 몸의 어떤 부위든지 다른 두 부위가 서로 연결되어 만나는 지점에 통증이 가장 잘 생긴다. 넓은 곳이나 어중간한 곳에는 경락이 잘 발달하지 않는다.

-목부위 약침 시행시 주의할 점은 경동맥과 성대를 직접 자극하여 마비시키는 부작용을 주의해야 한다.

-눈의 경우 눈동자에 접선방향으로 놓는 느낌으로 눕혀서 약침을 놓아야 한다.

-귀의 경우 이문과 예풍하에 가장 많이 사용한다. 예풍하의 경우 하악골과 두개골 사이를 잘 찾아보면 찾을 수 있다.

-머리의 경우 머리뼈 사이에 좁쌀처럼, 밥알처럼 경락이 발달되기도 한다. 이는 두통등과 연관이 있는 것 같다. 머리의 경우 혈관과 신경이 많아서 통증이 심하여 잘 사용하지는 않는다.

Q. 약침액이 새어나오는 것은 괜찮은 것입니까?

A. 약침액은 압력으로 짜넣는 것이므로 자연적으로 조금씩 새어나올 수 있다. 적당한 깊이에 적당한 속도로 놓았을 때 많이 새어나오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할 수 있다. 너무 빠른 속도로 놓을 경우 주변혈관이 손상되어 어반이 생길 수 있다.

Q. 약침의 보존기간은 냉장 보관했을 때 어느 정도 입니까?

A. 항산화제로 천연 토코페롤을 사용하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약침은 보관기간을 1년이 넘지 않도록 한다.

Q. 약침책에는 회락열이라고 하여 오래된 경락이 회복될 때 발열이 있을 수 있다는 데 어떤 것입니까?

A. 20여년간 환자진료시 거의 본적이 없다. 내 생각에 초기에 약침의 보관 등이 잘 못되고 이종 단백질이다 보니 발열이 생겼을 때 이러한 식으로 설명한 것 같다.

강의록 정리:제인한방병원 의국(02,3408-213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