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인병원 병원장 김길우, 의국 권태욱(02, 3408~2132)
김길우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2131907
------------------------------------------------------------------------------------
◆계지가갈근탕
계지탕증이 있으면서 항배강급이 있음
항배강급 - 항(목뒤) 배(등판)이 뻣뻣하다고 느껴지고 실제로 만졌을 때 빳빳하다.
◇갈근
주치: 항배강
방치: 천이한출
◆계지가황기탕
◇황기
주치: 기표지수
능치: 황한, 도한, 피수
방치: 신체종, 불인
황기건중 1냥반
계지가황기 2냥
황기계지오물탕 방기복령탕 3냥씩
방기황기탕, 기작계지고주탕 5냥씩
◆오두계지탕
성교통, 고환통
◇부자
주: 축수(주치라고 하지 않는 것은 물을 보고 쓰는 것이 아니고 약을 쓰니깐 물이 빠지더라는 의미이다)
능치: 오한, 신체사지급골절동통, 침중, 불인, 궐랭
방치: 복통, 실정, 하리
◇봉밀(꿀)
주치: 결독구통 겸조제약지독(약물의 독을 극대화)
◆계지가부자탕
계지탕에 부자2~3g
계지탕증 + 오한, 지절통, 굴신불리 -> 관절이 으슬으슬한 것이 아니고 통증이 실제로 생김.
◆계강조초황신부탕
계지탕 - 작약 +마황, 세신, 부자 = 계지거작약탕 + 마황부자세신탕
만성적인 알러지, 피부병에 발한법을 사용할 때 쓰임.
비염, 한랭알러지에도 많이 쓰인다.
*처방의 합으로 만들어진 처방
1. 계강조초마부세탕
2. 계마각반탕
3. 계이마일탕
4. 계이월일탕
합방할 때는 가감없이 원방대로만 한다.
◆계지가작약생강인삼신가탕
계지증이 있고 밥 잘 안먹는 애(성장통, 앉으면 짜증, 구역질, 떠먹어줘야하고...)
-> 애들보약의 쓰임으로 제일 많이 나간다.
◇작약의 복진 상 결실이구련(복직근이 빳빳)
◇인삼
주치: 심하비견, 비경, 지결
방치: 불식, 구토, 희수, 심통, 복통, 번계
◇생강은 많이 먹으면 구역질을 한번씩 하는 경향성으로 판단.
◆소건중탕
교이32g 작약12g(6g 증량) 계지 생강 대조 감초
마찬가지로 아이들 보약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밥도 잘 안 먹고 밥먹으면 배가 아프다고 하는 아이에게 많이 사용. 동시에 늘 다리 주물러 달라고하고 변비가 있음.
복진 상 배가 판판해서 예민해하고 압진 시 통증 호소함.
*아이들 중에 복직구련도 약간 있고 흉협고만(옆구리의 저항감)이 있다면 시호계지탕
◇교이(조청) - 밥을 효소분해해서 탄수화물이 이당류까지 분해된 상태의 농축
심하가 막혀 있지 않으나 밥을 못 먹는 경우 사용.
마황제
마황 행인 석고가 많이 사용.
마황탕, 마황부자세신탕, 소청룡탕, 마행의감
*마황제와 비만의 관계
수가 많아서 찐다 - 마황
결이 많아서 찐다 - 작약, 대황, 지실
부종이 심하다(밥을 먹지 않아도 찐다) - 의이인, 방기
◇마황
주치: 천해수기(천은 숨이 차고 호흡이 불안, 해는 재채기(코)나 기침(기관지), 수기는 콧물같은 물이 실제로 보인다는 의미)
방치: 오풍, 오한, 무한, 신동, 골절통, 일신황종
◇행인
주치: 흉간정수
고치: 천해
방치: 단기, 결흉, 심통, 형체부종(주로 얼굴이 부어있음)
*천은 목구멍이 줄어들어 헐떡거리는 것이고 단기는 물이 차서 숨이 짧다는 의미로 구분
복진시 심하에 결이 만져지고 볼록튀어나와있다. 천해수기가 보이나 심하가 쏙 들어간다면 행인을 배제하거나 약하게만 들어간다.(마황탕과 월비탕의 차이)
감초마황탕: 감초, 마황 -> 헐떡거림이 급박하다. (ex 밤새 숨차거나 토함)
마황탕: 감초마황탕 + 계지, 행인 -> 마황, 행인이 같이 들어가서 감초마황탕에 비해서 물이 확실히 많이 보인다.
◇석고
주치: 번갈
방치: 섬어 번조 신열
*번갈은 열을 싫어하고 피부가 붉고 실제로 갈증이 있으면서 냉수를 많이 맛있게 마신다.
*갈에 사용하는 약물 구분
석고는 번이 있는 갈
과루근은 그냥 갈
택사는 모현(冒眩)이 있는 갈
저령은 갈증이 있으면서 소변불리
활석 소변불리가 주치이면서 갈이 방치
마황제 선택법 - 1)마황(천해수기)이 있는데, 2)작약(결실이구련)과 석고(번갈, 섬어, 번조, 신열)를 확인
작약(o) 석고(o) -> 계지2월비1탕
작약(o) 석고(x) -> 계2마1, 계마각반, 소청룡탕, 갈근탕, 오두탕(축수)
작약(x) 석고(o) -> 대청룡, 마행감석, 월비
◆마황탕
마황 계지 감초 행인
치: 천이무한 두통 발열 오한 신체동
법: 한법
경향성: 약간 비만, 식욕왕성, 대소변양호, 각성장애(산소부족-마황은 목구멍을 넓혀서 산소를 넣고 물을 말려버리겠다는 의지)
◆감초마황탕
감초4g 마황8g
치: 천급
◆마황부자세신탕
천해수기 오한 신통
◇세신
주치: 숙음정수
고치: 수기재심하이천만 혹상역 혹협통
◆마행감석
심하의 저항, 천해수기, 번갈
계지증이 있으면 대청룡으로...
◆마행의감
마황, 행인, 의이인은 모두 ‘물’이다.
*의이인은 수독으로 부종이 심하다.(약한 부종은 행인정도로...)
◇의이인
주치: 부종
◆소청룡탕
마황탕에서 행인이 빠져있다는 것은 심하가 막혀있지 않다는 의미.
咳의 약물이 많다(세신, 반하, 마황, 작약, 오미자) - 헥헥거림, 좁아져있고...
세신 소화장애
건강 하리경향
'강의해서 남주자! > 복지학회 고방강좌-전상규 선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상규 선생의 고방 강좌(복치학회), 4주차 4-2 (09.12.08.) (0) | 2020.12.08 |
---|---|
전상규 선생의 고방 강좌(복치학회), 4주차 4-1 (09.12.08.) (0) | 2020.12.08 |
전상규 선생의 고방 강좌(복치학회), 1주차 1-1 (09.11.10.) (1) | 2020.11.10 |
전상규 선생의 고방 강좌(복치학회), 2주차 2-2 (09.11.17.) (0) | 2017.11.17 |
전상규 선생의 고방 강좌(복치학회), 2주차 2-1 (09.11.17.) (0) | 2017.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