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 아는, 노자 도덕경; 5장(21.01.24).
도덕경 제5장 도의 작용에 대해서 언급한다. 4장에서는 심원한 도(道)를 통하여 잘못된 것을 좌절시키고, 번잡함을 깨닫게 하여, 속세의 공정성회복과 평등에 같이 하라고 했다. 왜냐하면, 천지불인(天地不仁) 이만물위추구(以萬物爲芻狗), 천지는 어질지 않으니, 만물을 짚으로 만든 개로 여긴다. ★以~爲: ~을 ~으로 여기다. 추구(芻狗): 제사 지낼 때 짚으로 만든 개. 흔히 ‘천지는 만물을 낳기만 할뿐, 돌보지 않는다’고 하는데, ‘천지가 만물을 낳는다’ 는 관념은 ‘음양이 곧 태극이다’고 한 주역사상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만물은 천지가 낳는 것이 아니고, 조상의 유전자에 의해 상속되고 있으며, 자율성을 가지고 스스로 생존하고 있다. 또, 자연은 보편적이어서 어떠한 가치에도 개입하지 않고, 이런저런 ..
2021. 2. 22.
나만 아는, 노자 도덕경; 4장(21.01.17).
도덕경 제4장 노자는 1장은 만물을 다스리는 도(道:이치)에 대한 설명이었고, 2장은 그 도(道)를 가지고 사기꾼을 구분하는 법이며, 3장에서는 ‘섭리를 알려서, 사기꾼들이 하려는 것을 못하게 하라’고 했다. 그래서 사기를 당하지 않으려면, 도(道)의 개념 부터 철저하게 이해를 해야 된다. ★沖和= 부드럽고 조화함. 沖和之氣=하늘과 땅 사이의 조화된 기운. ☯ 도(道)란, 추상적인 것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려는 이치나 방법이고, 또 어떤 것을 알아내려는 이론과 실제이지, 사물을 바꾸거나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고, 실제로 존재하는 물체를 가리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 빌, 화할, 찌를 충(沖)은 깊다는 뜻이다. 도충(道沖) 이용지혹불영(而用之或不盈), 도(道)는 심원하지만, 실제로 쓰거나 혹은 채우지 ..
2021. 1. 30.